본문 바로가기
경제 공부/Economy Story

삼성전자와 삼성전기, 누가 더 저평가일까?

by 짜릿행복 2025. 6. 15.

삼성전자와 삼성전기 두 기업의 기업 비교 분석
삼성전자와 삼성전기 비교 분석

1. 서론 – IT 산업 회복기, 어디에 투자할까?

2025년은 반도체와 전자부품 산업에 다시 훈풍이 불고 있는 해입니다.
특히 AI 반도체, 전장 부품, 고부가 가치 패키징 등에서 삼성전자가 주목받는 가운데, 삼성전기 역시 MLCC 및 고성능 기판을 중심으로 성장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지금 시점에서 삼성전자(005930)와 삼성전기(009150) 중 어느 종목이 더 저평가되어 있는 걸까요?
2025년 6월 13일 종가 기준 데이터를 바탕으로, 두 기업의 펀더멘털과 시장 평가를 꼼꼼히 분석해보겠습니다.

 


 

2. 현재 주가와 시가총액 비교

항목 삼성전자 삼성전기
종가 (2025.06.13) 58,300원 127,200원
시가총액 3,477조 원 (보통주 기준) 9.5조 원
PER (2025E) 15.2배 14.1배
PBR 1.6배 1.1배
 

삼성전자는 국내 주식 시장을 대표하는 초대형 성장주이며, 글로벌 반도체 및 스마트폰 시장에서 강력한 존재감을 갖고 있습니다.
반면 삼성전기는 전자부품 및 MLCC를 중심으로 한 부품 전문 제조기업으로, 상대적으로 작지만 기술력과 수익성이 우수한 기업입니다.

 


 

3. 실적 비교 – 2024년과 2025년 실적 전망

삼성전자 실적 추이 (단위: 조 원)

항목 2023년 2024년 2025년
매출 258.9 298.5 326.0
영업이익 6.5 29.8 43.5
순이익 14.6 24.7 34.0
 
  • 2024년부터 메모리 반도체 회복HBM·AI 반도체 수요 증가로 실적이 급반등하고 있습니다.
  • 파운드리와 시스템반도체 성장도 긍정적입니다.

 

25년 삼성전자의 호재 포스팅을 보시려면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https://whatever99.tistory.com/entry/2025%EB%85%84-%EC%82%BC%EC%84%B1%EC%A0%84%EC%9E%90-%ED%98%B8%EC%9E%AC-%EB%B6%84%EC%84%9D

 

2025년 삼성전자 호재 분석

삼성전자는 한국 증시를 대표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늘 투자자들의 높은 관심을 받아왔습니다. 2024년 하반기부터 이어진 불확실한 시장 흐름 속에서도 삼성전자는 다양한 호재를 통해 다시금

whatever99.tistory.com

 

 

삼성전기 실적 추이 (단위: 조 원)

항목 2023년 2024년 2025년
매출 9.4 10.5 11.7
영업이익 0.7 1.2 1.5
순이익 0.8 1.0 1.3
 
  • 삼성전기는 고성능 기판, 카메라 모듈, MLCC 시장에서 실적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며,
  • 전장/AI 기기 수요 확대가 수혜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삼성전기 기업 분석 포스팅을 보시려면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https://whatever99.tistory.com/entry/2025%EB%85%84-%EC%82%BC%EC%84%B1%EC%A0%84%EA%B8%B0-%EC%A3%BC%EA%B0%80-%EB%B6%84%EC%84%9D-AI%EC%99%80-%EC%A0%84%EC%9E%A5-%EB%B6%80%ED%92%88-%EC%88%98%EC%9A%94%EC%97%90-%EB%94%B0%EB%A5%B8-%EC%84%B1%EC%9E%A5-%EA%B0%80%EB%8A%A5%EC%84%B1

 

2025년 삼성전기 주가 분석 : AI와 전장 부품 수요에 따른 성장 가능성

1. 기업 개요: 전자 부품 산업의 핵심 플레이어삼성전기(009150)는 삼성그룹 계열의 전자 부품 전문 기업으로,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카메라 모듈, 패키지 기판 등 다양한 전자 부품을 생산하고

whatever99.tistory.com

 

 


 

4. 투자자 관점에서 보는 장단점 비교

삼성전자 투자 포인트

  • AI 반도체, HBM 투자 확대로 장기 성장성 확보
  • 메모리 업황 반등 본격화 → 2025년 영업이익 급증 예상
  • 주당배당금 1,580원 수준, 안정적인 배당 수익
  • 단점: 시총이 너무 커서 초과 수익률은 제한적일 수 있음

삼성전기 투자 포인트

  • 전장/AI 기기용 MLCC 수요 회복 기대
  • 저평가된 주가 → PER/PBR 모두 낮음
  • 2025년 매출/이익 증가세 뚜렷, 턴어라운드 국면
  • 단점: 변동성 높은 전자부품 산업 의존도 높음

 


 

5. 밸류에이션 관점 – 누가 더 저평가인가?

2025년 실적 기준으로 PER, PBR, ROE 등을 비교해 보면, 삼성전기는 삼성전자보다 낮은 밸류에이션을 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이 무조건 "더 저평가"라는 뜻은 아닙니다. 시장은 일반적으로 기업의 안정성, 성장성, 산업 포지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주가를 책정하기 때문입니다.

항목 삼성전자 삼성전기
PER (2025E) 15.2배 14.1배
PBR 1.6배 1.1배
ROE 약 11% 약 8.5%
 

삼성전기는 현재 상대적으로 PER/PBR 모두 낮은 상태이므로,
전장·AI 수요 확대에 성공한다면 주가 재평가 여지가 더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6. 결론 – 당신의 투자 성향에 따라 답은 다를 수 있습니다

  • 안정성과 장기 배당 수익을 원하신다면 → 삼성전자
  • 성장성과 저평가 매력을 원하신다면 → 삼성전기

둘 다 탄탄한 기본기를 가진 우량 기업이며, 동일한 삼성 그룹 내에서도 서로 다른 성장 전략을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 AI·전장 산업의 급성장과 더불어, 삼성전기는 조용하지만 꾸준히 포지션을 넓히고 있고, 삼성전자는 글로벌 주도권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긴 포스팅을 읽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이 포스팅은 정보 공유의 목적으로 포스팅되었습니다. 이 포스팅에 수록된 내용은 전문가가 아닌 개인의 주관적인 생각을 바탕으로 한 내용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포스팅의 내용에 대해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참고 자료로만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포스팅은 주관적인 견해로서, 절대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 투자 시 투자 손실에 대한 모든 책임은 투자자에게 있고, 결과에 대해서는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