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꿀팁정보

중위소득 기준 차상위계층 청년내일저축 정리

by 짜릿행복 2023. 5. 5.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차상위계층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저는 현재 청년으로 청년저축에 관심이 많습니다. 청년저축 조건과 신청 대상자를 보다보니 차상위계층에 대해서 알아야 되겠더라고요. 그래서 차상위계층에 대해서 공부하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천천히 따라와 주세요. 

 

차상위계층-알아보기
차상위계층 알아보기

 

먼저 차상위계층의 사전적인 의미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차상위계층이란? 가계소득이 최저생계비의 100~120% 이하에 해당하는 계층을 말한다. 생활 지원을 받는 기초생활수급자 바로 위의 계층으로, 잠재적 빈곤층에 해당된다. 
기초 생활수급자보다 약간 형편이 나은 사람들이다. 정부에서는 차상위계층에서 생계, 의료, 금융, 교육, 주거 등 분야마다 기초생활수급자와 거의 비슷한 복지 혜택을 제공해 이들이 스스로 자립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사전적 의미는 위와 같습니다.(Daum 백과 참고)

 

 

사전적 의미를 보면 최저생계비의 100~120% 이하에 해당하는 계층이라고 말하지만, 우리는 중위소득 기준으로 말하려고 합니다. (청년내일저축 신청 대상자는 중위소득 기준으로 합니다.)

 

 

그렇다면 중위소득기준은 어떻게 될까요? 

먼저 23년 중위소득표를 보겠습니다. 

기준 중위소득
e-나라지표 참고

저는 e-나라지표에서 참고하였습니다.

직접 e-나라지표에 들어가서 보실 분들께서는 아래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https://www.index.go.kr/unity/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762

 

위의 표는 100% 기준입니다. 청년내일저축때문에 기준소득을 알아보시는 분들께서는 50%도 알고 계셔야겠죠?

50%는 100%의 반으로 계산하시면 됩니다. 직접 계산을 해보겠습니다. 

 

중위소득표
중위소득 표

 

청년내일저축을 고민하고 계신 분들께서는

자신이 중위소득 50%이하인지 아니면 중위소득 50%초과 ~ 100% 이하인지 궁금하실 거예요. 

 

그렇다면 자신의 소득이 중위소득 몇 %에 해당하는지 궁금하실 거예요. 이것은 복지로 사이트에서 계산할 수 있으며, 측정된 값은 참고용으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지로 사이트는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http://www.bokjiro.go.kr

 

 

복지로 사이트에 들어가시면 복지서비스에서 국민기초 생활보장에 들어가셔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복지로-국민기초-생활보장
복지로 참고

 

여기에 들어가셔서 기분정보(가구원수, 거주지 등), 소득재산정보, 일반재산, 금융재산, 차량가액, 부채, 의료급여정보에 대해서 기입 후 결과보기를 누르시면 자신의 소득이 중위기준 몇 %에 해당하는지 보실 수 있습니다. 저는 임의로 거주지를 경기도로 하고 근로소득을 380만 원으로 잡고 계산해 보았습니다.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조회하신 결과는 단순 참고용입니다. 참고 부탁드립니다.)

 

중위소득-임의-결과
중위소득 임의 결과

 

 

참고용으로 계산을 하시고 준비를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것으로 차상위계층과 중위소득 기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청년미래저축을 준비하고 계신 분들과 블로그를 방문해 주시는 모든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다음 시간에는 청년내일저축에 대해서 총정리하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또 만나요~~~

'꿀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내일저축계좌 소득 조건 신청방법 총정리  (0) 2023.05.0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