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고려아연 기업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고려아연의 주가, 시가총액 등을 알아보고 1분기보고서를 통해서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서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고려아연의 현재 주가와 시가총액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3년 7월 11일 종가 기준으로 455,000원 입니다. 시가총액은 약 9조 377억 원으로 코스피 39위에 있습니다. 시가총액만 봐도 엄청난 대기업이라는 것이 느껴집니다.
가장 최근 기사들을 살펴볼게요.
가장 눈에 띄는 기사는 파이낸셜뉴스 7월 7일 기사로
'고려아연, 목표주가 78만 -> 63만-하나'
가 가장 눈에 띕니다.
기사를 보고 싶은 분들께서는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기사를 보면 고려아연의 목표주가는 63만 원으로 낮췄습니다. 이유로는 LME 아연 가격의 하락과 중국 철강사들의 급격한 감산으로 아연 수요에 부정적인 영향을 작용했다는 점입니다.
그렇다면 1분기보고서를 통해서 기업분석을 해보고 개인적으로 느끼는 전망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분기보고서 살펴보기
사업의 내용
고려아연(주)는 비철금속제련회사로서 아연과 연의 생산판매를 주업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이 사업은 한국표준산업분류표의 소분류가 같고, 기타 금, 은, 동, 황산 등은 아연과 연제련과정에서 회수하는 유가금속과 부산물의 일종으로 생산하고 있습니다.
주요 제품을 보겠습니다.
매출 비중을 보면 아연과 은에서 가장 많은 매출이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매출을 더 자세히 들여다 보겠습니다.
매출을 보시면 고려아연은 내수시장보다는 수출시장에서 더 많은 매출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1분기의 매출액을 바탕으로 4를 곱하여 1년의 매출을 예상해 보면 22년 보다는 매출이 적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그리고 세계 경제가 하반기에도 좋아질 것 같은 분위기보다는 하반기에도 어려울 것 같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어서 매출은 조금 더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재무에 관한 사항
고려아연은 자본금이 많은 회사로 유명합니다. 부채비율이 22년에는 31%였고, 1분기보고서에 의하면 23년에는 29.33%입니다. 아주 낮은 부채비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포괄손익계산서를 보겠습니다. 매출액은 줄어들었습니다. 매출총이익은 22년 1분기 대비하여 약 1100억 원이 줄어들었습니다. 영업이익도 약 1400억 원이 줄어들었습니다. 실제로 금액으로 보니 더 크게 줄어든 것처럼 느껴집니다. 당기순이익도 약 90억 원이 줄어들었습니다. 눈에 띄는 것은 22년 1분기에 금융 비용이 컸었다는 점입니다. 23년 1분기에는 금융 비용이 줄어들었군요.
고려아연은 현재 지분 경쟁으로 치열한 싸움을 벌이고 있습니다. 고려아연의 지분 경쟁 이슈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해놓은 기사를 링크해 두겠습니다.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https://ilyo.co.kr/?ac=article_view&entry_id=454173
여기서 잠깐 글쓴이의 견해(전망)
여기까지 고려아연의 이슈들과 1분기보고서를 통해서 기업분석을 해보았습니다. 고려아연은 자본금이 많으며, 부채비율이 낮은 회사입니다. 회사의 매출액은 조금 감소하였고, 앞으로의 세계 경제를 생각하여도 수요는 쉽게 살아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하반기 또한 실적을 기대하기가 어려울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고려아연에 대해 투자를 고려하고 계신 분들이라면 고려아연이 니켈 사업을 진행 중이라는 사실을 알고 계셔야 합니다. 고려아연은 자회사인 캠코를 통해서 니켈을 생산하고 있으며, 니켈은 전구체 원료로 사용됩니다. 아연의 가격이 하락하면서 기업의 주가도 많이 하락하였습니다. 고려아연의 니켈 사업이 주목받게 된다면 주가는 다시 상승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고 있어요.(고려아연의 주주는 아닙니다.) 주가의 바닥은 알 수 없지만, 현재 주가가 많이 떨어져 있어서 분석을 해보았습니다. 긴 포스팅을 읽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이 포스팅은 정보 공유의 목적으로 포스팅되었습니다. 이 포스팅에 수록된 내용은 전문가가 아닌 개인의 주관적인 생각을 바탕으로 한 내용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포스팅의 내용에 대해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참고 자료로만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포스팅은 주관적인 견해로서, 절대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 투자 시 투자 손실에 대한 모든 책임은 투자자에게 있고, 결과에 대해서는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긴 포스팅을 읽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경제 공부 > Economy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프에스티 주가 1분기보고서 EUV 기업 분석 (1) | 2023.07.18 |
---|---|
종근당 주가 1분기 보고서 이슈 기업 분석 (0) | 2023.07.14 |
GS건설 주가 이슈 기업분석 (0) | 2023.07.06 |
CJ ENM 주가 기업 사업보고서 분석 (0) | 2023.06.22 |
덴티움 주가 임플란트 1분기 보고서 기업분석 (0) | 2023.06.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