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공부

스테이블 코인과 미국 채권의 관계 (3편)

by 짜릿행복 2025. 7. 5.

스테이블코인과 미국 채권과의 관계(3편)입니다.
스테이블코인과 미국 채권과의 관계 3편

3편을 보시기 전에 1편과 2편을 먼저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스테이블 코인과 미국 채권의 관계 (1편): 디지털 자산은 금리를 어떻게 반영할까?

1. 디지털 자산과 전통 금융의 만남최근 블록체인 기술의 발전과 함께, 스테이블 코인은 전통 금융 시장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 국채(채권)와의 연계는 스테이블 코인의 ‘안

whatever99.tistory.com

 

 

 

 

스테이블 코인과 미국 채권의 관계 (2편)

4. 대표 스테이블 코인 3종의 금리 연동 전략4-1. USDT (Tether)담보 구성 현황테더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준비금 중 현금·현금 등가물 약 20%, 단기 국채(1개월~3개월) 약 60%, 회사채·기타 자산 20%로

whatever99.tistory.com

 

 

1편과 2편을 보셨다면 3편을 시작하겠습니다. 

 

7. 한국 투자자가 주목해야 할 포인트

7-1. 금리 환경과 스테이블 코인 수익구조

  • 단기 국채 수익률 확인
    • 미국 3개월·6개월 T-Bill 수익률은 스테이블 코인 발행사 이자수익의 핵심 지표
    • 투자 전, 3M T-Bill Yield 같은 시장 데이터를 매주 모니터링할 것
  • 담보 포트폴리오 구성 파악
    • USDT는 단기채 비중이 높고, USDC는 국채 100% 담보 정책
    • 발행사 리포트를 통해 담보 구성 비율감사 보고서를 정기적으로 확인하라

7-2. 디파이(DeFi) 활용 전략

  • 스테이블 코인 렌딩·예치 수익
    • Aave, Compound 같은 DeFi 플랫폼에 USDC·USDT를 예치해 Lending Rate 획득
    • 한국 가상자산 거래소 수익률과 비교해 절대 이자율이 높은지 점검
  • 스테이블 코인 스테이킹
    • 일부 체인(예: Terra Classic)은 자체 스테이킹 모델로 추가 수익 제공
    • 그러나 블록체인별 스마트컨트랙트 위험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7-3. 환율 리스크 관리

  • 원/달러 환율 변동이 스테이블 코인 보유가치에 직접 영향을 미침
  • 달러 강세 시 원화 환산 가치는 상승, 반대 경우 하락
  • 장기 보유 시 FX Forward나 환헤지형 상품 병행 검토

 


 

8. 규제 변화와 글로벌 정책 동향

8-1. 미국·EU의 스테이블 코인 규제

  • 미국(SEC · Fed)
    • 2023년 “스테이블 코인 투명성 및 책임 법안” 상정 → 준비금 100% 예치, 월간 감사 의무화
    • Fed는 “스테이블 코인 운영은 은행과 유사”라며, 충분한 자본요건·유동성 규제 필요 강조
  • 유럽연합(EU)
    • 2024년 MiCA(Markets in Crypto-Assets) 규정 통과 → 모든 스테이블 코인은 중앙은행 예치금·국채 담보 등 안전자산만 활용
    • 유럽 내 발행사는 “전자화폐 기관”으로 등록해야 하며, 지급준비금 보유비율도 규정

8-2. 한국 정부의 접근

  • 금융위·금감원
    • “원화 스테이블 코인” 시범사업 추진 중(2025년 하반기 예정)
    • 한국은행, 프로젝트 한강에 민간 스테이블 코인 연동 실험
  • 법률 개정 움직임
    • 가상자산사업자(VASP) 법 개정 안: 스테이블 코인을 ‘지급수단’으로 명시 → 발행·유통·회수 과정 규율
    • “1:1 담보 예치 의무”, “불법송금 방지(KYC/AML)” 강화

8-3. 글로벌 CBDC 동향

  • 중국: 디지털 위안화(C DCEP) 이미 시범 운영 → 상호운용성 모색
  • 영국·일본·EU: CBDC 연구 단계, “스테이블 코인과 상호결합” 가능성 언급
  • CBDC 출시 시 민간 스테이블 코인과 역할 분담이 주요 의제

 


 

9. 결론: 개인 투자자는 어떻게 대응할까?

9-1. 실전 투자 전략

  1. 스테이블 코인 비중 조절
    • 안전자산 포트폴리오 중 5~10% 이내로 스테이블 코인 배분
    • 금리 상승 국면엔 비중 확대, 인하기엔 축소를 고려
  2. DeFi 연계 활용
    • 안정성이 검증된 USDC·DAI 위주로 DeFi 예치
    • 플랫폼별 Lending APY·TVL(Total Value Locked) 모니터링
  3. 환헤지 및 분산투자
    • 달러 자산과 스테이블 코인은 환율 위험이 있으므로, 환매조건부채권(RP) 등 국내 채권과 함께 묶어 운용
    • 전통금융권 MMF, 로보어드바이저와 병행

9-2. 장기적 관점의 인사이트

  • 금리 사이클 파악: Fed의 금리 전망 보고서(FOMC Minutes)를 정기 구독
  • 규제 변동성: 법·제도 변경 시 스테이블 코인 시장 구조가 크게 바뀔 수 있으므로, 뉴스·공시 알림 설정
  • 기술 발전 주시: 차세대 스테이블 코인(algorithmic stablecoin)이나 CBDC와의 상호작용은 중장기 투자 기회

9-3. 시리즈 요약

  1. 1편: 스테이블 코인 기본 구조와 국채 연계
  2. 2편: 주요 코인별 금리 연동, 발행량 급증과 국채 수요, CBDC 경쟁
  3. 3편: 한국 투자자 실전 팁, 글로벌 규제 동향, 개인 대응 전략

 

긴 포스팅을 읽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이 포스팅은 정보 공유의 목적으로 포스팅되었습니다. 이 포스팅에 수록된 내용은 전문가가 아닌 개인의 주관적인 생각을 바탕으로 한 내용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포스팅의 내용에 대해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참고 자료로만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포스팅은 주관적인 견해로서, 절대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 투자 시 투자 손실에 대한 모든 책임은 투자자에게 있고, 결과에 대해서는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댓글